컨텐츠 바로가기

복지뉴스

  1. HOME
  2. 소통과 알림
  3. 복지뉴스
일반게시판 상세페이지
제목 2022년도 사회복지시설 평가 결과 발표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3.02.14
첨부파일 [2.14.화.조간]_2022년도_사회복지시설_평가_결과_발표.hwpx 조회수 807

 

2022년도 사회복지시설 평가 결과 발표

- 코로나19 유행 속에서도 우수시설(A등급) 비율 3.6%p 상승 -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사회복지사업법*에 따라 사회복지시설 1,885개소 대해 지난 3년간(’19~’21) 시설 운영 및 서비스 수준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발표하였다.

* (43조의2) 보건복지부장관과 시도지사는 시설을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결과를 공표함

 

보건복지부는 사회복지시설의 운영을 효율화하고 이용·생활인에 대한 서비스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 1999년부터 장애인거주시설 등 10개 시설유형(지표기준 14*)에 대해 3년 주기로 평가해왔다.

* 아동·장애인·정신재활공동생활가정 및 장애인단기거주시설은 소규모·단기 거주의 특성을 반영하여 지표 분리

 

2022년 사회복지시설 평가대상* 사회복지관(280개소), 노인복지관(211개소), 아동생활시설(277개소), 장애인직업재활시설(412개소), 장애인거주시설(559개소), 장애인단기거주시설(146개소)이며,

* 서울·경기는 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장애인복지관, 장애인직업재활시설에 대해 시·도 자체평가(2018~)

** 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은 코로나19로 인해 평가 유예(20212022)

 

- 1,885개소 1,202개소가 우수시설(A등급)2019년 전기 대비 75개소(3.6%p) 증가했으며, 80개소가 최하위시설(F등급)2019년 전기 대비 22개소(1.2%p) 감소했다.

 

< 전기(2019) 대비 등급별 시설 수 및 분포 >

(단위 : 개소수(%))

 

합계

A등급

B등급

C등급

D등급

F등급

증감

13

75(3.6%p)

34(2.0%p)

4(0.2%p)

10(0.6%p)

22(1.2%p)

2022

1,885

1,202(63.8)

394(20.9)

152(8.1)

57(3.0)

80(4.2)

2019

1,872

1,127(60.2)

428(22.9)

148(7.9)

67(3.6)

102(5.4)

6개 시설유형 평균 88.7으로 전기(86.4) 대비 2.3점 상승하였고, 유형별로 살펴보면, 아동생활시설을 제외한 모든 시설유형에서 전기 대비 평가 결과가 상승하였다.

 

< 전기(2019) 대비 시설유형별 평균 점수 증감 현황 >

(단위 : )

 

전체

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아동생활시설

장애인직업

재활시설

장애인거주시설

장애인단기

거주시설

증감

2.3

3.0

2.7

2.1

1.4

2.3

8.2

2022

88.7

92.6

89.1

86.7

86.5

88.7

90.5

2019

86.4

89.6

86.4

88.8

85.1

86.4

82.3

 

아동생활시설의 경우 D영역(이용자의 권리)에서 전기 대비 9.1점 하락함에 따라 평균 2.1점이 낮아졌으며, 이는 평가 기간 내 행정처분이 있어 감점*된 시설 63개소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 평가기간 내 아동학대 사건으로 인한 행정처분 있을 시 인권영역 0점 처리 등

 

2022년 사회복지시설 평가를 받은 대상 중 178개소는 최초로 평가받는 신규 평가시설이었으며 1,707개소는 평가 경험이 있는 기존 평가시설이었다.

 

기존 평가시설(89.5)신규 평가시설(80.7) 대비 평균 점수 8.8 높았으며, 모든 유형에서 사회복지시설 평가 경험이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 신규·기존시설의 시설유형별 평균점수 비교 >

(단위 : )

 

전체

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아동생활시설

장애인직업

재활시설

장애인거주시설

장애인단기

거주시설

차이

8.8

0.5

8.2

4.3

10.5

9.9

1.5

기존

89.5

92.6

90.0

86.8

88.3

89.7

90.7

신규

80.7

92.1

81.8

82.5

77.8

79.8

89.2

 

전기(2019) 평가 결과가 미흡한 DF등급 시설 중 방문 컨설팅을 지원받은 시설121개소였으며, 이 중 74개소(61.2%) 이번 평가에서 등급이 상승하여 시설의 서비스가 개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품질관리 지원에도 불구하고 연속 최하위등급(F등급)을 받은 40개 시설 대해서는 소관 지방자치단체에 명단 통보하여, 적극적으로 개선계획을 수립하고 점검해 나가도록 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는 이번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사회복지시설의 품질관리를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기존 평가시설 대비 신규 평가시설의 평균 점수가 낮은 점을 고려하여 최초로 평가받는 시설에 대한 사전 컨설팅을 실시한다.

 

아울러 2022년 평가 결과 미흡등급(D, F등급) 시설에 대해서는 시설유형에 따른 방문컨설팅을 통해 시설 운영 역량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평가점수 상위 5% 시설(90개소)과 전기 평가 대비 개선 폭이 큰 상위 3% 시설(55개소)에는 포상금*을 지급한다.

 

* 평가 상위시설: 700만 원(단기거주시설 200만 원), 개선시설: 350만 원(단기거주시설 100만 원)

 

** 행정처분을 받았거나 수사 진행 중인 시설, 평가등급 미흡(D·F등급) 시설은 제외

 

2022사회복지시설 평가 결과는 해당 지방자치단체 및 시설에 개별 통보할 예정이며, 보건복지부 누리집(http://www.mohw.go.kr 알림/공지사항),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 누리집(http://www.w4c.go.kr 복지지도)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서울·경기 등 시·도가 자체평가한 결과도 보건복지부 누리집에 함께 공개

 

이번 평가 결과공개부터 행정처분을 받아 감점되었거나, 평가를 거부하여 평가 결과가 없는 시설에 대해 별도로 표시하여 평가 결과에 대한 정보공개 범위를 확대한다.

 

보건복지부는 2023년에는 장애인복지관, 정신요양시설, 정신재활시설, 노숙인생활시설, 아동공동생활가정,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정신재활공동생활가정에 대해 평가하며,

 

2024에는 양로시설, 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에 대해 평가할 예정이다.

 

 

<붙임> 1. 사회복지시설 평가 개요
2. 전기(2019) 대비 시설유형별 평가 결과
3. 사회복지시설 기수별 평가 연혁

붙임 1

 

사회복지시설 평가 개요

평가목적 및 근거

 

(목적) 정기적인 평가를 통해 사회복지시설의 운영 효율화 시설에서 거주하거나 시설을 이용하는 국민에 대한 서비스 질 제고

 

(근거) 사회복지사업법 제43조의2 및 동법시행규칙 제27조의2

사회복지사업법 제43조의2(시설의 평가) 보건복지부장관과 시ㆍ도지사는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시설을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공표하거나 시설의 감독ㆍ지원 등에 반영할 수 있으며 시설 거주자를 다른 시설로 보내는 등의 조치를 할 수 있다.

 

사회복지사업법시행규칙 제27조의2(시설의 평가) 보건복지부장관 및 시ㆍ도지사는 법 제43조의2에 따라 3년마다 시설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야 한다.

 

평가내용

 

(대상) 장애인복지관 등 10개 유형(지표기준 14) 4,500여 개소(3년주기)

구분

평가대상시설

1년차

장애인복지관, 정신요양 및 재활시설, 노숙인생활시설, 아동장애인정신재활공동생활가정

2년차

양로시설, 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

3년차

아동생활시설, 장애인거주시설,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장애인단기거주시설

* 최초 설치된지 3년 이상이며 정상 운영 중인 시설 전수 자체평가·현장평가 수행

 

** 어린이집, 노인요양시설, 지역아동센터 등은 개별법이나 지침에 따라 별도 평가

 

*** 서울시와 경기도 이용시설(사회노인장애인복지관,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자체 평가

 

(절차) 지표개발자체평가현장평가이의신청확인평가결과공개

 

(방법) 현장+자체평가 구분, 유형별 46개 영역*, 5등급 절대평가

 

* 시설환경, 재정조직, 프로그램서비스, 이용자 권리, 지역사회관계, 시설운영 전반

 

결과공개

 

(내용) 최종 평가등급(A~D, F등급) 및 영역별 등급 공개

 

(방법) 보도자료, 복지부 홈페이지, 사회복지시설정보시스템(개별시설 통보)

 

사후관리

 

(우수) 우수·개선시설 인센티브 지급 및 장관표창 후보 추천

 

(미흡) 품질개선을 위한 역량강화교육 및 컨설팅 실시

붙임 2

 

전기(’19) 대비 시설유형별 평가 결과

(단위 : 개소 수, %)

 구분

합계

A등급

B등급

C등급

D등급

F등급

개소

%

개소

%

개소

%

개소

%

개소

%

전체

2022

1,885

1,202

(63.8)

394

(20.9)

152

(8.1)

57

(3.0)

80

(4.2)

2019

1,872

1,127

(60.2)

428

(22.9)

148

(7.9)

67

(3.6)

102

(5.4)

증감

(’22-’19)

13

75

(3.6)

34

(2.0)

4

(0.2)

10

(0.6)

22

(1.2)

사회복지관

2022

280

243

(86.8)

18

(6.5)

6

(2.1)

-

-

13

(4.6)

2018

341

291

(85.3)

20

(5.9)

5

(1.5)

1

(0.3)

24

(7.1)

증감

(’22-’18)

61

48

(1.5)

2

(0.6)

1

(0.6)

1

(0.3)

11

(2.5)

노인복지관

2022

211

159

(75.4)

20

(9.5)

7

(3.3)

7

(3.3)

18

(8.5)

2018

246

171

(69.5)

38

(15.4)

8

(3.3)

7

(2.8)

22

(8.9)

증감

(’22-’18)

35

12

(5.9)

18

(5.9)

1

-

-

(0.5)

4

(0.4)

아동생활시설

2022

277

150

(54.2)

65

(23.5)

39

(14.0)

12

(4.3)

11

(4.0)

2019

285

193

(67.7)

61

(21.4)

15

(5.3)

5

(1.7)

11

(3.9)

증감

(’22-’19)

8

43

(13.5)

4

(2.1)

24

(8.7)

7

(2.6)

-

(0.1)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2022

412

187

(45.4)

153

(37.1)

41

(10.0)

15

(3.6)

16

(3.9)

2019

344

142

(41.3)

122

(35.5)

50

(14.5)

16

(4.6)

14

(4.1)

증감

(’22-’19)

68

45

(4.1)

31

(1.6)

9

(4.5)

1

(1.0)

2

(0.2)

장애인 거주시설

2022

559

357

(63.9)

116

(20.8)

48

(8.6)

20

(3.6)

18

(3.1)

2019

523

286

(54.7)

141

(27.0)

45

(8.6)

29

(5.5)

22

(4.2)

증감

(’22-’19)

36

71

(9.2)

25

(6.2)

3

-

9

(1.9)

4

(1.1)

장애인

단기거주시설

2022

146

106

(72.6)

22

(15.1)

11

(7.5)

3

(2.1)

4

(2.7)

2019

133

44

(33.0)

46

(34.6)

25

(18.8)

9

(6.8)

9

(6.8)

증감

(’22-’19)

13

62

(39.6)

24

(19.5)

14

(11.3)

6

(4.7)

5

(4.1)

 

A등급(90점 이상), B등급(80이상~90점 미만), C등급(70이상~80점 미만), D등급(60이상~70점 미만), F등급(60점 미만)

* 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은 1년 평가유예로 2018년 평가결과와 비교

사회복지관평균 점수는 92.6점으로 전기 대비 3점 상승하였으며, 우수시설 비율이 1.5%p 상승하고 최하위시설 비율이 2.5%p 하락하였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f40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67pixel, 세로 381pixel

2018

 

2022

A등급(85.3%)

 

A등급(86.8%)

B등급(5.9%)

 

 

B등급(6.5%)

C등급(1.5%)

 

 

C등급(2.1%)

D등급(0.3%)

 

F등급(7.1%)

 

F등급(4.6%)

<사회복지관>

 

노인복지관평균 점수는 89.1점으로 전기 대비 2.7점 상승하였으며, 우수시설 비율이 5.9%p 상승하고 최하위시설 비율이 0.4%p 하락하였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110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3pixel, 세로 331pixel

2018

 

2022

A등급(69.5%)

 

A등급(75.4%)

B등급(15.4%)

 

 

B등급(9.5%)

C등급(3.3%)

 

C등급(3.3%)

D등급(2.8%)

 

D등급(3.3%)

 

F등급(8.9%)

 

 

F등급(8.5%)

<노인복지관>

 

아동생활시설평균 점수는 86.7점으로 전기 대비 2.1점 하락하였으며, 우수시설 비율이 13.5%p 하락하고 최하위시설 비율이 0.1%p 상승하였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11000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4pixel, 세로 329pixel

2019

 

2022

A등급(67.7%)

 

A등급(54.2%)

 

B등급(23.5%)

B등급(21.4%)

 

 

C등급(14.0%)

C등급(5.3%)

 

 

D등급(4.3%)

D등급(1.7%)

 

 

F등급(4.0%)

F등급(3.9%)

 

<아동생활시설>

 

장애인직업재활시설평균 점수는 86.5점으로 전기 대비 1.4점 상승하였으며, 우수시설 비율이 4.1%p 상승하고 최하위시설 비율이 0.2%p 하락하였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fb8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70pixel, 세로 344pixel

2019

 

2022

A등급(41.3%)

 

A등급(45.4%)

B등급(35.5%)

 

 

B등급(37.1%)

C등급(14.5%)

 

 

C등급(10.0%)

D등급(4.6%)

 

 

D등급(3.6%)

F등급(4.1%)

 

 

F등급(3.9%)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장애인거주시설평균 점수는 88.7점으로 전기 대비 2.3점 상승하였으며, 우수시설 비율이 9.2%p 상승하고 최하위시설 비율이 1.1%p 하락하였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f40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54pixel, 세로 376pixel

2019

 

2022

A등급(54.7%)

 

A등급(63.9%)

B등급(27.0%)

 

 

B등급(20.8%)

C등급(8.6%)

 

 

C등급(8.6%)

D등급(5.5%)

 

 

D등급(3.6%)

F등급(4.2%)

 

 

F등급(3.1%)

<장애인거주시설>

 

장애인단기거주시설평균 점수는 90.5점으로 전기 대비 8.2점 상승하였으며, 우수시설 비율이 39.6%p 상승하고 최하위시설 비율이 4.1%p 하락하였다.

- 전기 평가에서는 장애인거주시설과 동일한 지표로 평가하였으나, 2022 단기시설에 대한 특화지표*최초로 적용한 영향으로 판단된다.

* 단기적으로 거주하는 시설의 특성을 고려하여 지표영역 중 E영역(지역사회관계) 제외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1100009.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48pixel, 세로 339pixel

2019

 

2022

A등급(33.0%)

 

A등급(72.6%)

B등급(34.6%)

 

C등급(18.8%)

 

B등급(15.1%)

 

C등급(7.5%)

D등급(6.8%)

 

F등급(6.8%)

 

D등급(2.1%)

 

F등급(2.7%)

<장애인단기거주시설>

붙임 3

 

사회복지시설 기수별 평가 연혁

구분

평가대상시설(개소수)

시행

기관

기수별 지표 개발 방향

연도

1

개별시설 평가지표 개발

(1,060개소)

‘99

장애인복지관(36), 정신요양시설(59)

95

보건

사회

연구원

‘00

아동복지시설(28), 노인요양시설(60), 여성생활시설(61), 정신지체생활시설(52), 노숙인(부랑인)시설(33), 사회복지관(285)

519

‘01

노인양로시설(79), 아동복지시설(243), 장애인복지시설(124)

446

2

1기 평가 시 개발 못한 일부 평가지표 추가개발

(1,185개소)

‘02

정신요양시설(55), 노숙인(부랑인)시설(33), 장애인복지관(56)

144

‘03

노인복지시설(191), 모자복지시설(56), 사회복지관(334)

581

04

아동복지시설(261), 장애인생활시설(199)

460

한국

사회

복지

협의회

3

사회복지 현장을 반영한 평가지표 완성도 제고 및 영역별 지표 확대 개발

(1,372개소)

05

정신요양시설(55), 사회복귀시설(74), 노숙인(부랑인)복지시설(37), 장애인복지관(83)

249

06

사회복지관(261), 노인생활시설(224), 노인복지회관(72) ·부자복지시설(75)

632

07

아동복지시설(260), 장애인생활시설(231)

491

4

이용자·생활인의 인권지표 강화 및 사회복지시설 서비스 최소 기준안 반영

(1,787개소)

08

정신요양시설(55), 사회복귀시설(113), 노숙인(부랑인)복지시설(36), 장애인복지관(119)

323

09

사회복지관(295), 노인생활시설(62), 노인복지회관(139), 부자복지시설(80)

576

10

아동복지시설(266), 장애인생활시설(292), 공동생활가정(330)

888

5

전체 공통지표, 생활시설 공통지표, 이용시설 공통지표 구분 개발

(2,190개소)

11

정신요양시설(59), 사회복귀시설(163), 노숙인(부랑인)복지시설,(37) 장애인복지관(152)

411

12

노인복지관(190), 양로시설(63), 사회복지관(412), 한부모가족복지시설(100)

765

13

아동복지시설(275), 장애인거주시설(372), 장애인직업재활시설(367)

1,014

6

평가지표 간소화, 현장의 평가부담 완화, 평가의 실효성 제고 중심으로 보완 및 개선

(3,218개소)

14

정신요양시설(59), 사회복귀시설(220), 노숙인복지시설(37), 장애인복지관(182)

498

15

노인복지관(248), 양로시설(66), 사회복지관(429), 한부모가족복지(96)

839

16

아동복지시설(286), 장애인거주시설(447), 장애인단기거주시설(116), 장애인공동생활가정(571), 장애인직업재활시설(461),

1,881

7

공통지표 축소, 이용자 중심,

소규모 시설 평가지표 개발

(3,173개소)

17

정신요양시설(59), 정신재활시설(285), 노숙인생활시설(113), 장애인복지관(203)

660

한국

사회

보장

정보원

18

노인복지관(281), 양로시설(105), 사회복지관(438), 한부모가족복지(114)

노인사회복지관 서울 소재 132개소 별도평가

938

(806)

19

아동생활시설(285), 장애인직업재활시설(555), 장애인거주시설(602), 장애인단기거주시설(133)

장애인직업재활 서울경기 소재 211개소 별도평가

1,575

(1,364)

8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평가지표 개발, 평가결과 환류체계 강화

(4,518개소)

‘20

장애인복지관(144), 노숙인생활시설(107), 정신재활시설(151), 정신요양시설(59), 아동공동생활가정(467), 장애인공동생활가정

(659), 정신재활공동생활가정(158)

장애인복지관 서울경기 소재 79개소 별도평가

1,824

(1,745)

‘21

양로시설(137), 한부모가족복지시설(74), 한부모공동생활가정(43)

노인·사회복지관 서울 소재 171개소 별도평가

425

(254)

‘22

사회복지관(280), 노인복지관(211), 아동생활시설(277), 장애인직업재활시설(412), 장애인거주시설(559), 장애인단기거주시설(146)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서울·경기 소재 248개소, 노인·사회복지관 경기 소재 136개소 별도평가

2,269

(1,885)

중앙 사회 서비스원

다음글,이전글
이전글 용산구, 홀몸 어르신 돌봄로봇 지원
다음글 용산구, 용산공예관 개관 5주년 특별전 개최
[04400]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로224-19,2층 (한남동,공영주차장)
TEL : 02-2074-9191, FAX : 02-797-9890

Copyright ⓒ Yongsan Welfare Foundation. All Right Reserved.

  • TODAY :1,002
  • TOTAL :4,640,070